다발성 경화증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 돈이 되는 공부
- 2019. 9. 6. 07:50
중추신경계의 문제로 뇌, 눈, 척수, 신경, 시신경 등에 문제가 발생되는 질병인 다발성 경화증.
말 그대로 사람마다 증상이 다 다르고 증상도 다양하기 때문에 쉽사리 분간하기 어렵다. 또한 일상적인 활동에 서서도 큰 불편을 겪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다발성 경화증에 대해서 많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우리 몸에는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가 있다.
중추신경계란 무엇일까? 우선 우리의 신경세포들을 뉴런이라고 하고 뉴런들이 모여있는 곳을 신경계라고 한다.
중추신경계는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그 두 곳은 뇌와 척수이다. 중추신경계는 우리 몸 중앙을 가로질러 배까지 연결되어 있는 척수를 중추신경계라고 한다. 뇌와 척수 둘 다 우리 몸 가운데에 있다. 한마디로 중앙 쪽에 버티면서 우리의 신경을 감당하고 있다.
말초신경계란 무엇일까?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에서 나뭇가지처럼 뻗어 나와 우리 몸 구석구석에 퍼져 있는 신경들도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신경계가 있어 고통과 증상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우리가 이렇게 살아있을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기도 하다. 만약 우리 몸에 신경이 없었다면 우리는 우리 몸의 어떠한 증상도 파악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로 인해 인간은 질병과 질환에 너무 쉽게 노출되어 수명 연장은 꿈도 꿀 수 없었을 것이다.
양날의 검인 우리 신경계. 다발성 경화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신경계도 이해를 해야 이번 글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럼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생겨 질병이 나타나는 '다발성 경화증'은 정확히 어떤 질병일까?
다발성 경화증은 우리 몸 중앙에 있는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만성적으로 고통이 생기는 질병이다. 중추신경은 말초신경과 연결이 되어 있어 우리 뇌, 눈, 감각, 근육 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증상과 고통도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그래서 병명 자체가 다발성이다. 누구는 쉽게 낫고, 누구는 평생 동안 고통을 안고 살아간다. 증상이 완화되고 다시 재발되는 속도도 사람마다 각기 다르기 때문에 다발성 경화증은 정말 매우 까다로운 질병이다.
그럼 다발성 경화증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가장 근본적인 원인 우리의 신경세포에 문제가 있어 생기는 질병이다.
신경세포 뉴런들은 하나의 단일 세포이지만, 뉴런들은 서로 연결되어 상호적인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신호들을 다른 신경세포에게 전달을 한다. 그래서 우리가 이렇게 글을 읽을 수도 있고 움직일 수 있고 먹고 자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신경세포들이 서로 연결이 잘 되지 않고 중간에 자꾸 끊기는 현상들이 발생된다. 어떤 자세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원인 모를 이유로 인해 신경세포들이 서로 연결이 잘 안 된다.
이런 현상을 쉽게 이해를 돕자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기선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전에 신경세포의 구조에 대해서 알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신경세포에는 축삭돌기, 수상돌기, 시냅스, 미엘린 수초 등 이 있다.
축삭돌기 : 하나의 뉴런이 다른 뉴런 신경세포들끼리 이어 주기 위해 있는 큰 줄기 같은 돌기
수상돌기 : 하나의 뉴런이 다른 신경세포들끼리 연결해주기 위해 나뭇가지처럼 여러 개 뻗어있는 돌기
시냅스 : 세포끼리 전기 신호를 받기 위해 세포와 세포의 간극 사이, 이 사이를 시냅스라 하고 스냅스를 통해 전기신호를 받아 서로 소통할 수 있다.
미엘린 수초 : 축삭돌기를 보호하기 위해 인지질 성분으로 둘러싸여 있다. 미엘린의 역할은 신경세포의 전기신호가 누출되거나 흩어지지 않는 역할을 한다.
조금 어려운가? 그런데 이런 용어들이 조금 익숙해져야 다발성 경화증 이해에 조금 용이해진다.
만약 잘 이해가 안 된다면 여러 번 읽어보길 바란다. 그래야 단어들이 조금씩 익숙해지고 왜 다발성 경화증 증상들이 나타난 지 근본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다.
다시 내용으로 돌아가서 한 가지 예로 쉽게 이야기를 해보자. 예는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와 헤드라이트이다.
차에는 배터리가 있고 배터리를 통해서 헤드라이트를 킬 수 있다. 원리는 간단하다. 배터리와 헤드라이트를 연결해주는 전기선이 있고 이 전기선을 통해 배터리는 헤드라이트로 전기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헤드라이트에서는 빛이 나온다.
그런데 이제까지 잘 자동하고 있는 헤드라이트가 잘 켜지지 않는다. 알고 보니 중간에 헤드라이트 전기선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배터리와 헤드라이트를 연결해주는 전기선에 문제가 생겨 헤드라이트가 켜질 때가 있고 꺼질 때도 있다. 그 이유를 알고 보니 전기선에 흠집이 나 있었다. 중간중간에 전기선 피복이 벗겨져서 전기가 누출되고 때로는 아예 전기가 통하지 않아 배터리에서 아무리 전기를 보내도 헤드라이트는 잘 켜지지 않는 것이었다.
우리 신경세포도 똑같다. 뇌는 배터리 역할을 하고 있고 신경은 헤드라이트 역할을 하고 있다.
뇌는 신경세포들에게 전기 신호를 보낸다. 하지만 신경세포들끼리 전기 신호가 잘 연결되지 않는다. 신경세포 축삭돌기를 보호하고 있는 미엘린 수초가 많이 손상되어 전기 누출이 되고 있던 것이었다. 이 말은 즉 전기선 피복이 벗겨져 전기를 받지 못해 헤드라이트가 켜지지 않는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어떻게 될까? 도대체 우린 몸에 어떤 일들이 생기고 있는 것일까?
우선 신경세포들끼리 전기 신호를 잘 받지 못한다. 중간중간 미엘린 수초가 손상되어 연결이 잘 되지 않아 신경전달물질을 원활하게 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우리 몸은 조금씩 신경을 잃게 되는 것이다. 헤드라이트가 잘 켜지지 않는 것이다.
헤드라이트가 잘 켜지지 않으면 우리 몸에는 조금씩 증상이 나타나고 때로는 심한 고통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이 심한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도 있다. 다발성 경화증이 쉽게 낫는 사람도 있고, 평생 동안 다발성 경화증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도 있다. 갑자기 증상이 순식간에 낫기도 하고 또 얼마 지나지 않아 재발하는 경우도 다반사이다. 이래서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잡는 것은 매우 힘들 일이다.
대략적으로 이해가 되었는가? 다시 한번 언급하자면, 우리 몸의 신경들은 하나하나 곁곁이 다 연결되어 있는데, 신경세포 미엘린 수초가 건강하지 못하고 손상이 되어 있다면 우리는 뇌에서 보내는 전기 신호들을 잘 받지 못하고 신경에 문제가 생긴다. 미엘린 수초가 손상되면 비단 다발성 경화증 뿐만 아니라, 척추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고, 뇌질환 특히 뇌졸중, 횡단성 척수염 등의 질환과 질병에 너무나 쉽게 노출이 된다. 그만큼 미엘린 수초의 건강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또한 미엘린이 손상되고 없어지면 신경세포들끼리 제대로 된 소통을 할 수 없고 전기신호를 받지 못해 운동 뉴런에도 문제가 생겨 일상적인 생활도 매우 불편해질 수 있다.
운동 뉴런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뉴런의 한 종류이면서 중추신경계에서 보내는 전기신호를 우리 근육이나 신체 반응기에 전달하는 신경세포들이다.
이번 글은 우선 다발성 경화증이 왜 생기는지 원론적으로 알아보았다.
다음 글은 다발성 경화증의 구체적인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다발성 경화증은 전 세계에서 많이 발생되는 질환이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에서는 그 비율이 적어 만 명 중에 3~5며 정도밖에 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그 이유는 이 증상이 하루아침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10~20년에 걸쳐서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이다. 하루아침에 우리 신경세포들이 악화되지 않는다. 우리의 나쁜 습관들과 잘못된 식습관이 우리의 세포들을 매우 괴롭히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심각한 증상과 고통이 나타날 때까지 전혀 모른다는 것이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건강한 삶을 위해 지금부터라도 우리 몸을 신경 쓰고 가꿔야 한다. 외모만 가꾸는 것이 아닌 내면의 건강을 가꿔야한다.
남에게 친절하듯이 내 자신 몸에게도 친절을 베풀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건강을 스스로 지킬 수 있고 단단한 안전벨트를 갖출 수 있다.
'돈이 되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헐적 단식 16:8 건강을 지키기 위한 최고의 방법 (0) | 2019.09.07 |
---|---|
다발성 경화증 증상 및 원인은? (0) | 2019.09.07 |
치매 귀주름은 위험한 신호인가? (0) | 2019.09.05 |
팥 효능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19.09.05 |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상 및 원인은 무엇일까?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