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및 치료방법은?

아스퍼거 증후군 환우를 가진 부모님의 심정은 정말 억장이 무너진다. 단순히 사회성이 조금 떨어지고 혼자 생각이 많은 줄 알았는데 그것이 아니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아 스팩트럼 장애"의 일부분이다. 만성적인 정신질환이라 완치가 조금 힘들다. 명확한 원인이라도 알면 그 원인을 찾아 치료도 해보고 싶은데 그것이 싶지가 않다. 참으로 안타깝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밝혀진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일까?

아직까지 확실한 원인을 밝혀지지 않았지만 많은 과학자들이 동의한 부분은 이렇다.

 

1.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출생 중에 산소결핍으로 인한 대뇌 손상을 꼽았다.

2. 신경 뇌과학자들이 FMRI 검사를 했을 때 소뇌에 약간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보통 소노에서 생각을 하고 대뇌로 전달을 하는데 이 전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 대뇌가 생각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경우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이 보인다고 한다.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은 어떻게 받나?

아래의 예시 중에 2~3가지 이상이 포함된다면 아스퍼거 증후군일 확률이 높다.

 

1. 낯을 심하게 가리고 부모에게만 집착을 한다.

2. 의사소통을 할 때 눈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행동이나 자세들이 바르지 못하다.

3.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분야만 관심이 많다.

4. 다른 사람과 감정적으로 상호관계가 이뤄지지 않는다.

5. 지속적으로 집착을 심하게 부린다.

6. 혼자의 힘으로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한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일반적인 증상은 이렇다.

1. 사회성이 많이 부족해진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자기가 보고 싶고 믿고 싶은 것만 바라본다. 그래서 자신이 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그나마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한데, 자신이 싫어하고 낯선 사람을 만나면 의사소통이 매우 힘이 든다. 이러한 모습들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몇 달, 몇 년 동안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 가장 큰 문제는 학교나 일반적인 대중과 같이 있을 때 이런 현상들이 더 자주 발생된다. 그렇게 되면 일반 친구들한테 따돌림을 받게 되고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은 더더욱 심해진다.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그 아이는 사람들을 더 피하게 되고 일반 사람들은 그들에게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2. 공감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서로의 영향을 받아가며 자신의 공감능력을 쌓아 간다. 하지만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스스로 혼자만의 세상에 갇혀 남의 행동과 생각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공감을 하지 못한다. 특히 어린 나이에는 다른 사람들에게 거칠게 대하고 상처가 되는 말을 자기도 모르게 자주 하게 되어 사람들에게 상처를 입힌다. 그럴 땐 부모가 옆에서 차근차근 이것은 잘못된 생각과 행동이라고 말해줄 수 있다. 그래도 부모에게는 의지하고 일반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감능력을 조금씩 가르칠 수 있다.

 

3. 대화를 할 때 눈을 마주치지 못한다.

 

 

처음에 부모는 이런 오해를 할 수 있다. "우리 아이는 자신감이 부족하고 낯이 부족해서 눈을 마주치지 못하는 것이야" 

만약 아이가 지속적으로 눈을 마주치지 못하고 몸을 베베 꼰다거나 한 가지 동작만 반복을 할 때에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그렇다고 아이에게 억지로 눈을 마주치게 하고 행동을 멈추게 하면 안 된다. 그들에게는 그 행동들이 매우 불안하고 고통스럽게 만들기 때문에 절대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눈을 바라보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하지만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눈을 피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친근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서로 입장 차이가 존재하니 억지로 눈을 마주치게 하면 안 된다.

 

4. 관심 분야가 매우 한정되어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만 집중적으로 빠져든다. 이러한 행동들은 그들에게 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한 가지 일에만 몰두하고 집중함으로써 다른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다른 분야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부모가 지속적으로 다른 분야에 대해 조금씩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도움을 줘야 한다.

 

5. 운동감각이 많이 떨어진다.

 

 

일반적인 사람들과 달리 운동감각이 많이 떨어져서 과격한 움직임이 있는 스포츠를 함께 즐길 수 없다. 그리고 집중력이 필요로 한 행동들을 많이 힘들어한다. 예를 들어 글을 쓰는 것, 그림 그리는 것 등등을 힘들어한다. 하지만 어떤 환자들은 특별한 패턴 인식 능력이 매우 뛰어나 어떤 한 분야의 운동능력이 대단할 수도 있다. 이럴 때 부모가 이런 능력을 빨리 캐치하고 그쪽 분야에 재능을 육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스퍼거 증후군 치료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들은 혼자만의 세상에 갇혀있을 확률이 높다.

그래서 그들이 원하는 것을 해주되 조금씩 심리적으로 정서적으로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그들은 환경이 바뀌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일반적인 하루 루틴이 자기 생각과 다르고 벗어나면 매우 혼란스러워하고 불안해한다. 그래서 그들에게 큰 변화를 기대하면 안 된다. 빠른 시간 안에 증후군을 치료하겠다고 계획을 만들고 정신적인 치료를 하게 되면 오히려 역효과를 얻어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 치료법은 표준화된 방법이 현재로써는 없다. 그래서 부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 부모와 심리학자는 정신재활치료, 심리적 안정 교육, 사회성 발달 교육 등을 통해 그들의 증상은 조금씩 완화시킬 수 있다.

 

이번 글은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및 치료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 가지 안심되는 부분은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 예후가 매우 좋다. 꾸준히 심리 치료를 받으면 성인이 되었을 때 혼자 자립성을 갖고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부모들은 너무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휴 정말 다행이다. 아무리 만성질환이라고 해도 부모의 사랑과 정성이 가득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그들에게는 특별한 관심과 사람이 필요하다. 그들만에 세상을 이해하고 입장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 올바는 방법으로 그들에게 다가갈 수 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