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재활성화 – 면역 저하의 조용한 침입자
- 건강하자
- 2025. 6. 12. 09:32
결핵 재활성화 – 면역 저하의 조용한 침입자

■ 요약 정리 표
구분 내용
결핵 재활성화 정의 과거 잠복결핵균이 면역저하로 인해 다시 활성화되어 발병하는 현상
주요 위험 인자 고령, 당뇨·암·HIV·스테로이드·생물학적 제제 사용 등 면역억제 상태
증상 만성 기침·혈담·발열·야간 발한·체중 감소
진단 방법 흉부 X선·CT, 객담 도말·배양 검사, 흉수·조직 생검, IGRA 검사
치료 및 관리 6개월 이상 4제 요법(이소니아지드·리팜핀·피라진아미드·에탐부톨), 부작용 모니터링
---
서론
결핵은 한때 우리나라에서 흔했던 결핵균 감염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로 잠복 상태로 전환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면역체계가 약해지는 노년기, 또는 당뇨·암 치료 등으로 면역억제 상태가 되면 잠복결핵균이 재활성화되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조용한 침입자’라 불리는 결핵 재활성화는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어, 발병 후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위험군의 조기 선별과 예방적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본론
1. 결핵 재활성화 기전 및 위험 인자
1. 잠복결핵감염: 과거 노출된 결핵균이 면역세포에 의해 포박되어 활동 정지 상태
2. 면역저하 유발 요소:
고령에 따른 면역 노화
당뇨병, 암, HIV 등 만성질환
스테로이드·생물학적 제제 등 면역억제제 사용
영양부족·스트레스 등 전반적 면역 기능 저하
2. 임상 증상 및 전형적 양상
초기 무증상 혹은 경미한 피로·식욕부진
폐결핵: 2주 이상 지속 기침, 객담·혈담, 흉통, 호흡곤란
전신 증상: 발열·야간 발한·체중 감소
3. 진단 방법
흉부 영상 검사: X선·CT로 폐 병변(침윤·공동 등) 확인
객담 검사: 도말 및 배양, 내성 검사 포함
IGRA(인터페론 감마 분비 검사): 잠복결핵 선별
조직 생검: 흉막·림프절 결핵 의심 시 채취 검사
4. 치료 및 관리 전략
4-1. 표준 4제 요법
초기 2개월: 이소니아지드(INH), 리팜핀(RIF), 피라진아미드(PZA), 에탐부톨(EMB)
유지 4개월: INH + RIF
4-2. 복약 순응도 및 부작용 관리
간기능·신기능 모니터링, 말초신경염·위장관 증상 확인
비타민 B6(피리독신) 보충으로 신경독성 예방
4-3. 예방적 관리
위험군(잠복결핵 보유·면역저하자)에 INH 단독 예방 요법 6~9개월
정기 결핵 검사(흉부 X선·IGRA)로 잠복 결핵 여부 확인
4-4. 생활·공중보건 대책
영양 관리: 단백질·비타민·미네랄 충분 섭취
생활습관: 금주·금연, 규칙적 수면·운동
감염 관리: 환기·마스크 착용, 가족·의료진 노출 방지

결론
결핵 재활성화는 면역 저하를 배경으로 잠복결핵이 다시 활동화되는 질환입니다. 특히 고령자와 만성질환자, 면역억제제 사용자는 주기적 검사와 예방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흉부 영상·객담 검사·IGRA 등을 활용해 잠복 및 재활성화 결핵을 조기에 선별하고, 표준 4제 요법과 예방 요법으로 적극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작은 의심 증상도 놓치지 않는 것이 건강한 노년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건강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성 피부 감염(사마귀, 물사마귀) 증가 (0) | 2025.06.14 |
---|---|
장염이 자주 반복된다면 면역 관련 질환 의심 (0) | 2025.06.13 |
요로감염이 반복된다면 면역력이 문제 (0) | 2025.06.11 |
폐렴 – 고령자 면역 저하의 대표 감염 질환 (0) | 2025.06.10 |
구내염과 입병이 자주 날 때 체크할 것 (0) | 2025.06.09 |